posted by 박과장 2015. 5. 19. 09:34

저는 야구를 좋아합니다. 1, 2, 3루의 역경을 거치고 다시 홈으로 금의환향하는 신화적인 구성도 좋고, 공 하나 하나마다 경우의 수가 달라지는 확률의 맛, “타임 아웃이 없는” 승부의 맛, 모두에게 공평한 기회를 주지만 결과는 모두 다른 인생의 맛도 좋습니다. 반면, 저는 한국의 엘리트 체육 시스템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많은 젊은이들이 한 번 경쟁에서 미끄러지면 이를 되돌릴 길이 요원해집니다. ‘운동만’ 하도록 평생 요구받아온 그들은 운동이라는 끈을 놓쳤을 때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미국 메이져리그의 선수들이 은퇴 이후 전공을 살려 다양한 진로를 찾아나가는 것과 아주 대비됩니다. 



 영화 ‘파울볼’은 이 두가지 모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엘리트 체육의 경쟁구도 속에서 미끄러진 야구 선수들을 재기하고자 창단된 야구 구단 ‘고양 원더스’와 그 감독 ‘김성근’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명문대를 졸업하고 벤쳐 재벌이 되었지만 야구에 대한 사랑이 여전해서 수익은 커녕 오히려 돈을 계속 투자해야하는 독립 구단, 그것도 선수가 잘하게 되면 프로로 스카웃 보내고 그것을 목표로 삼는 구단을 만드는 허민 대표와, 수많은 프로 구단의 러브콜을 무시하고 이러한 구단의 감독으로 부임하는 김성근 감독 모두 실리, 상식과는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그것이 그들에게 일종의 성스러움을 부여하기까지 합니다. 사람들이 대단함을 느끼는 순간은 의외로 단순해서, ‘나같으면 못하겠다’ 싶은 결정들을 보면 경외감을 느끼곤 하죠.



 영화에서 주로 다루는 것은 감독 김성근과 고양 원더스의 선수들입니다.

 김성근에 대해서는 워낙 많은 이야기들과 책들이 시중에 나와 있지만, 일본에서 나고 자란 그의 리더십은 전형적인 일본의 ‘아버지’ 그 자체입니다. 아주 혹독한, 모두가 나가 떨어질 만큼의 지독한 훈련을 시키고 선수들을 괴롭(?)히지만 선수들에 대한 강한 책임 의식, 이 배가 침몰하더라도 배에 마지막까지 타고 있겠다는 선장의 마음같은 것이 김성근의 리더십입니다. 워낙 사회에 어른의 모습이 없다는 이야기가 팽배하다보니(사실 이는 세대 갈등이 주요 원인입니다만) 이 리더십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사람들이 따지고 들기 보단 그저 좋은 쪽으로 여기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게다가 결과가 좋으니 (고양 원더스는 꽤 많은 프로 선수를 배출해냈고, 그 이전에 맡았던 SK는 3번의 우승, 1번의 준우승을 이루어 냈으며, 현재 만년 꼴지이던 한화를 중위권에 안착시켰습니다) 별 반론이 나오기 어려운 것은 당연지사입니다. 하지만 분명 독재적이긴 하죠.



 고양 원더스의 선수들은 저마다 다양한 사연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번 경쟁에서 도태되었던 이들이기에 다양한 직업출신이기도 하고,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야구 소년도 있습니다. 그러나 목표는 하나, 프로 진출뿐입니다. 이러한 간절함이 별다른 대본이나 연출 없이 관객들에게 감동을 주는 드라마가 됩니다.



 다큐멘터리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치는 뽀얀 국물의 설렁탕에 비교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심장을 뒤흔드는 이야기나 소름끼치는 반전을 기대하지 않습니다. 그저 사실이라는 형태가 주는 먹먹함, 제대로 끓인 설렁탕의 묵직함 처럼 가슴을 채워오는 그 뭔가를 기대하지요. <파울볼>을 그 점에서 썩 훌륭한 이야기 소재를 썩 훌륭햔 다큐멘터리의 방식으로 담아낸 설렁탕 한 그릇 같은 영화입니다. 지금은 프로가 된 원더스 출신 선수들이 앞으로 해나갈 플레이와, 한화의 감독이 된 김성근의 발걸음 역시 이 영화의 관객들이 함께 계속해서 즐겨나갈 현재 진행형 다큐멘터리라 할 수 있겠습니다.




한줄평: 절박한 이야기의 힘.